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양, 주행거리, 듀얼 모터 성능은 물론이고 국내 출시 예상 시기와 한화 가격, 경쟁 전기 SUV 모델까지 자세히 비교해드렸습니다. 럭셔리 전기 SUV에 관심 있으시다면 꼭 확인해보세요.
1.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조용히 등장한 럭셔리 전기 SUV의 끝판왕?
드디어 레인지로버도 전기차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름은 단순히 ‘Range Rover Electric’. 외형은 기존 모델과 거의 흡사하지만, 파워트레인은 완전히 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차량은 단순한 전동화 모델이 아닌, 레인지로버 고유의 DNA를 ‘더욱 조용하게’ 계승한 플래그십 SUV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JLR(재규어 랜드로버)에 따르면, 이미 60,000건 이상의 사전 관심 등록이 몰렸을 정도로 시장 반응이 뜨겁고, 특히 북미 시장과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전기 레인지로버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 중입니다.
그렇다면 이 차량이 만약 2025년 대한민국에 상륙한다면, 어떤 스펙을 지니고 있고, 예상 가격은 어느 정도이며, 경쟁 모델은 무엇일지 현실적인 관점에서 리뷰해보겠습니다.
2.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핵심 사양은 어떤가요?
정숙함과 힘, 그리고 오프로드 성능을 모두 잡은 전기 SUV.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핵심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워트레인: 듀얼 모터(프론트+리어)
- 시스템 출력: 542마력 / 토크 627lb ft
- 배터리 용량: 117kWh (더블 스택 구성, 344개 셀)
- 충전 시스템: 800V 아키텍처 / 최대 350kW 고속 충전 지원
- 전용 AWD 시스템: IDD(Independent Driveline Distribution) + ITM(Integrated Traction Management)
- 주행거리(예상): WLTP 기준 약 530km (330마일)
특이한 점은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 단순히 전기 파워만 장착한 것이 아니라, 기존 내연기관 모델과 비교해 오히려 더 정밀한 주행 제어 시스템을 탑재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트랙션 제어 속도는 내연기관 대비 100배 빠르며, 눈길·모래·자갈길 등 다양한 환경에서 탁월한 주행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3. 실내 디자인과 주행 감각은 기존 모델과 어떻게 다를까요?
레인지로버 특유의 웅장하면서도 절제된 실내 구성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동일한 고급 마감재
- ‘플로팅’ 디스플레이 구성
- 터치감과 피드백이 개선된 Pivi Pro 인터페이스 탑재
여기에 주목할 점은 전기차 특유의 조용함과 즉각적인 응답성이 더해져, 기존 레인지로버보다 한층 더 부드럽고 여유로운 승차감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이 차량은 속도를 즐기기보다는 ‘정숙한 권위’를 강조하는 전기차에 가깝습니다.
조용한 숲길, 빙판길에서도 우아하게 미끄러지듯 나아가는 이 감각은, 내연기관으로는 흉내내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4.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국내 출시 가능성과 시기는?
JLR은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을 2024년 하반기 글로벌 첫 공개, 2025년 상반기 유럽과 미국 중심 초기 공급, 2025년 하반기 아시아 순차 출시를 예고했습니다.
대한민국 출시 예상 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장 빠르면 2025년 4분기
- 늦으면 2026년 상반기 중 도입 가능성 높음
- 출시 주체: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 수입 완성차 형태
전기차 보조금은 제외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고급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고려한 고객 대상 전략이 함께 제시될 것으로 보입니다.
5. 한화 가격으로는 어느 정도 예상해야 하나요?
영국 기준으로 £136,000이 평균 거래가이며, 옵션 사양에 따라 15~20%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한화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형 기준: 약 2억 3천만 원 내외 (세금 및 수입가 포함)
- 풀옵션 사양: 2억 6천만 원 이상 예상
- 경쟁차 대비 프리미엄: 메르세데스 EQS SUV, BMW iX M60보다 다소 높은 가격대
즉,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전기차’보다는 궁극의 럭셔리 SUV 포지션을 유지한 채 출시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6. 국내에서 경쟁할 차량은 어떤 모델인가요?
2025년 대한민국 고급 전기 SUV 시장은 이미 뜨거운 전쟁터입니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이 출시된다면 다음 모델들과 직접 경쟁할 것으로 보입니다:
모델명 | 특징 | 예상 가격 |
BMW iX M60 | 고성능+프리미엄 감성, 운전자 중심 | 1.9억~2.2억 |
메르세데스 EQS SUV 580 4MATIC | 실내 럭셔리+플래그십 정숙성 | 2.1억~2.5억 |
아우디 Q8 e-tron | 합리적인 구성과 기술력 강조 | 1.2억~1.4억 |
리비안 R1S(출시 예정) | 전기 오프로더, 실용성 특화 | 1억~1.3억 |
테슬라 모델 X | 기술 기반 SUV, 파격적인 퍼포먼스 | 1.5억~2억 |
여기서 중요한 차별점은 레인지로버 일렉트릭만의 오프로드 성능 + 프리미엄 감성 + 실내 정숙성이라는 3박자가 모두 충족된다는 점입니다.
특히 실제 오프로드 가능성이 있는 모델은 위 리스트 중 사실상 레인지로버가 유일합니다.
7. 진짜 가치 있는 전기 SUV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전기차’라기보다 ‘럭셔리 레인지로버의 전동화 버전’에 가깝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낀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놀라운 정숙성, 기존보다도 조용함
- 전기모터 기반의 즉각적인 토크 제어로 오프로드 주행이 한층 더 매끄러움
- 내부 온도 관리 시스템 ‘Thermassist’로 실내 쾌적성 및 배터리 효율 향상
- 실내 감성 그대로 유지, 주행은 더 부드러워짐
다만, 단점이나 제약도 분명히 있습니다:
- 가격이 부담스럽고, 보조금 미지급 가능성
- 차량 무게가 3톤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 (공식 수치는 미공개)
- 고출력 충전 인프라 확보가 국내에서는 아직 불안정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전동화 시대에도 럭셔리 SUV의 정체성을 지키는 데 성공한 첫 번째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출시가 확정된다면, 전기차 선택 기준에 ‘오프로드 가능성’, ‘브랜드 헤리티지’, ‘궁극의 정숙성’을 포함시켜야 할 날이 곧 올 것입니다.
'전기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기아 EV3 가격 제원 주행거리 가격표 보조금 정보 리뷰 (0) | 2025.05.23 |
---|---|
아우디 Q4 e-트론 가격 제원 주행거리 배터리 제조사 정보 리뷰 (0) | 2025.05.05 |
폴스타2 가격 연비 주행거리 제원 배터리 제조사 보조금 정보 리뷰 (0) | 2025.04.30 |
지리 EX5 예상 가격 제원 연비 주행거리 배터리 국내 출시 정보 리뷰 (0) | 2025.04.15 |
폭스바겐 ID.5 가격 제원 주행거리 배터리 제조사 정보 리뷰 (0) | 2025.04.14 |